정책 지원금
서울 대중교통 월정액(정액패스) 2025 — 가격·권종·신청방법
정액패스=기후동행카드. 30일권은 62,000원(미포함)/65,000원(따릉이 포함), 청년할인과 단기 무제한(1·2·3·5·7일)도 선택 가능. 모바일티머니 또는 실물카드로 간편 신청.
지원 대상 · 자격
INFO
서울 전역과 인접 도시 일부 구간에서 이용 가능하며, 2025년에도 사용지역이 순차 확대됩니다. 가격·권종·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 거주지 무관 누구나 신청 가능. 모바일(안드로이드 OS 12+)·실물 중 선택. |
---|---|
우선 지원 | 청년(19~39) 할인 적용(월 55,000/58,000원 등). 지자체 맞춤형 할인 추가 예정. |
특별 지원 | 관광객·단기 체류자는 1·2·3·5·7일 단기권으로 무제한 이용 가능. |
지급 형태 | 30일권 62,000원~65,000원, 단기권 5,000~20,000원. 충전일 기준 사용 시작. |
사용처 | 지하철·버스·공공자전거(따릉이) 등. 일부 광역·공항 노선 제외. |
예외 | 사용지역 외 구간은 별도 요금. 사전충전 불가, 분실·도난 시 재발급 절차 필요. |
신청 절차
DETAIL
앱 발급이 가장 빠릅니다. 실물카드는 편의점·지하철에서 구입 후 등록하세요.
접수 | 모바일티머니 앱 → 기후동행카드 발급 → 권종 선택·충전. iOS는 실물카드 구매 후 등록. |
---|---|
서류 | 본인인증·결제수단 등록(카드/계좌). 청년할인 증빙은 앱/가이드 절차에 따름. |
심사 | 시스템이 유효기간·권종·자격 자동 확인. 후불형은 카드사 심사 적용. |
결과 | 충전 직후 사용 가능(단기권은 충전 당일 시작). 사전충전 불가. |
지급 | 개찰구 태그로 무제한 이용. 지역·노선 확대는 서울시 공지로 수시 확인. |
체크리스트
TIP
- ✓ 출퇴근·외근 등 월 40회+ 이용이면 30일권이 유리, 관광은 단기권 추천.
- ✓ 분실 대비 실물/모바일 등록정보 백업·정지 기능 확인.
- ✓ 사용지역·제외노선 공지 자주 확인(확대·변경 수시 반영).
자주 묻는 질문(FAQ)
Q. 30일권과 단기권 중 무엇이 유리한가요?
A. 주 5일 출퇴근 등 월 40회+면 30일권이, 여행·출장 등은 1~7일 단기권이 유리합니다. 가격·일정에 따라 선택하세요.
Q. 아이폰도 모바일카드를 쓸 수 있나요?
A. iOS는 실물카드가 권장됩니다. 안드로이드(OS 12+)는 모바일티머니로 발급·충전이 가능합니다.
Q. 사용지역은 어디까지인가요?
A. 서울 전역과 일부 수도권 연계구간이며, 2025년에도 확장 중입니다. 방문 전 서울시 공지를 확인하세요.
Q. 충전일보다 미리 사둘 수 있나요?
A. 단기권은 사전충전 불가입니다. 충전일 기준으로 사용기간이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