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금 계산법 & 지급기준 2025 — 평균임금·근속연수·세금 완벽 가이드

by BOBO-BO 2025. 9. 22.

 

노무 · 퇴직정산

퇴직금 계산법 & 지급기준 2025 — 평균임금·근속연수·세금 완벽 가이드

퇴사 정산에서 가장 중요한 건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계산식, 지급기한, 세금·공제, IRP 이전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퇴직금 기본 공식

BASICS

법정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퇴직금 = 30일분 평균임금 × (총 근속연수)
  • 지급요건: 계속근로 1년 이상 근로자
  • 지급기한: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노사 합의 시 연장 가능)

평균임금 & 근속연수 계산

CALC

평균임금은 원칙적으로 퇴직 전 3개월간 총임금 ÷ 그 기간 총일수일평균을 말합니다. 퇴직금 산정에는 30일분 평균임금을 사용합니다.

항목 포함 비고
기본급·고정수당 정기/일률/고정 지급
연장·야간·휴일수당 대체로 포함 실지급액 기준
성과·격려금 조건부 지급관행·정기성 여부
복리후생(식대 등) 조건부 임금성 판단 필요

근속연수는 입사일~퇴사일까지의 연수를 말하며, 1년 미만 단위는 일할(일수/개월/연) 계산합니다.

계산 예시

  • 최근 3개월 총임금 9,000,000원 / 총일수 92일 → 일평균 97,826원 → 30일분 평균임금 2,934,780원
  • 근속연수 4년 6개월(= 4.5년) → 퇴직금 ≈ 2,934,780 × 4.5 = 13,206,510원

지급기한 · 세금 · IRP 이전

PAY/TAX
  • 지급기한: 퇴사일 + 14일 이내. 지연 시 지연이자 문제 발생.
  • 퇴직소득세: 근속기간·환산급여에 따른 분리과세(원천징수). 원천징수영수증 반드시 수령.
  • IRP(개인형퇴직연금)로 받으면 퇴직소득세 이연 가능, 인출 시 분리과세.
  • 중간정산: 법정 사유 한정(무주택 주택구입/전세, 재해, 장기요양 등) — 입증서류 필수.

자주 묻는 질문(FAQ)

Q. 1년 미만 근무했는데 퇴직금이 없나요?

A. 원칙적으로 계속근로 1년 미만이면 법정 퇴직금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취업규칙·단체협약 등으로 별도 지급 규정이 있으면 따릅니다.

Q. 평균임금 대신 통상임금을 쓰나요?

A. 퇴직금은 평균임금이 원칙입니다.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거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낮을 때 등 예외가 있습니다.

Q. 사용자가 14일 내 지급을 안 하면?

A. 지연이자 발생 및 진정/고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민원으로 대응 가능합니다.

Q. 연봉제·포괄임금제도 동일하게 계산하나요?

A. 네. 임금 항목과 3개월 총임금이 정리되면 평균임금 산정 원리는 같습니다.

#퇴직금 #평균임금 #근속연수 #퇴직연금 #IRP #중간정산 #퇴직소득세 #원천징수 #퇴사정산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링크 확인일: 2025-09-01

 

 

 

퇴직금 계산 공식, 평균임금·근속연수 산정, 세금/IRP/중간정산, 지급기한까지 2025년 최신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