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완벽가이드 2025|의무가입·보장범위·미가입시 불이익

BOBO-BO 2025. 10. 6.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완벽가이드 2025|의무가입·보장범위·미가입시 불이익

건물주나 상가 임대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보험이 있습니다.
바로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인데요.
2025년부터 안전관리 기준이 강화되면서 의무가입이 확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념, 대상, 보장범위, 사고사례, 미가입 시 불이익까지 꼼꼼히 살펴봅니다.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이란?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은 건물이나 시설물의 결함, 관리소홀로 제3자 피해가 발생했을 때 법적 손해배상금을 대신 보상해주는 보험입니다.

의무가입 대상 (2025년 기준)

  • 🏢 연면적 1,000㎡ 이상 건축물
  • 🏬 상가·병원·학원 등 다중이용시설
  • 🏗️ 건설공사장, 주차장, 숙박시설
  • 🎪 행사장, 임시전시장, 축제장소

👉 미가입 시 최대 500만 원 과태료 및 운영제한 조치가 가능합니다.

보장 범위

구분 보상내용 보상한도
대인배상 시설물 결함으로 인한 인명피해 1인당 최대 2억 원
대물배상 시설사고로 인한 재산손해 사고당 1억 원
부대손해 소송비용, 변호사비용 등 실비 한도

사고 사례

  • 💧 천장 누수로 상점 피해
  • 🚪 자동문 오작동으로 고객 부상
  • 🪜 계단 미끄럼사고 골절
  • 🔥 전기합선으로 화재 확산

보험료 산정 및 절차

보험료는 건물 면적·용도·이용자 수·위험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평균 연 20~40만 원 수준이며, 건물 규모가 클수록 증가합니다.

영업배상책임보험과의 차이

구분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영업배상책임보험
보장대상 시설 결함 영업활동 중 사고
가입자 건물주, 관리자 사업주, 점포운영자
보장범위 시설 자체 결함·관리소홀 영업행위 중 손해

Q&A

Q1. 임차인도 가입해야 하나요?
A1. 시설 운영을 맡고 있다면 가입이 필요합니다.

Q2. 화재보험과 중복되나요?
A2. 아닙니다. 화재보험은 자산손해, 시설보험은 대인·대물 보상입니다.

Q3. 사고 후 보상기간은?
A3. 손해사정 후 약 7~14일 내 지급됩니다.


📌 관련 태그: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배상책임보험 #건물주보험 #2025보험의무가입 #영업배상책임보험 #건물관리자보험 #시설물보험 #화재보험 #상가보험 #안전관리의무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완벽가이드 2025|의무가입·보장범위·미가입시 불이익

댓글